About The Search in Posts

“ 2010.05.11 동아일보: [프리뷰] 김성호 감독의 그녀에게 ”

[프리뷰]그녀와 스친 옷깃, 현실인가 상상인가… 김성호 감독의 ‘그녀에게’


시나리오-실재인물 오가며
두개의 이야기 하나로 묶어

감독의 개인경험 엮은 영화
현장감 살리려 즉흥연기도



여배우를 캐스팅하기 위해 부산에 내려왔다가 우연히 혜련을 만나게 된 영화감독 인수(왼쪽). 어렸을 적 헤어진 딸 혜련을 찾아 헤매는 동연(오른쪽). 영화 ‘그녀에게’는 세 사람의 관계를 현실과 상상의 세계를 넘나들며 보여준다. 사진 제공 스폰지

13일 개봉하는 김성호 감독의 ‘그녀에게’는 ‘작지만 시각적으로 즐거운’ 영화다. 이 영화는 부산의 구석진 골목길, 평범한 산길, 컨테이너가 쌓인 공터 등 일상을 카메라에 담았다. 1억 원의 적은 예산을 들였지만 몽환적인 화면이 관객들의 시선을 잡는다.

이 영화에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이야기가 교차한다. 영화감독 인수(이우성)는 여배우 캐스팅을 위해 부산에 내려온다. 그가 섭외한 여배우는 시나리오를 수정해 달라고 요구한다. 잘 풀리지 않던 시나리오 때문에 고민하던 인수는 죽은 남자 친구의 추억을 지우고 싶어 하는 혜련(한주영)을 만나고 그녀에게 영감을 받아 시나리오를 다시 써 내려간다. 두 번째 이야기는 오래전 가족을 떠난 사진작가 동연(조성하)이 딸 혜련을 만나기 위해 부산 곳곳을 뒤지는 데서 시작한다. 동연은 혜련의 집을 찾아가지만 외면당한다. 혜련은 동연을 남겨두고 집을 떠난다.

감독은 이 두 이야기를 복잡하게 교직시키며 영화를 만들어간다. 인수의 시나리오 속에 동연의 이야기를 삽입하고 그 이야기를 다시 실재하는 혜련과 연결시키며 현실과 시나리오를 오간다. 이를 통해 감독이 제기하는 문제는 보이는 것에 대한 의문. 보이는 것이 결국 다 거짓일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영화는 이야기보다 이미지에 집중한다. 영화 중간에 등장하는 회상 장면에는 거친 느낌을 주는 흑백 화면을 삽입했다. 흑백 화면 중 일부는 감독과 배우들이 이 영화를 만들기 전 개인적으로 찍어놓은 화면을 활용하기도 했다. 흑백 장면 중에는 인수의 아내가 그네를 타는 모습이 나온다. 이 장면은 인수 역을 맡은 배우 이우성이 자신의 아내가 그네 타는 장면을
찍어 놓은 것을 그대로 영화에 사용한 것이다. 하지만 그런 ‘현실’은 영화라는 매체와 결합되면서 완전히 다른 새로운 의미를 띤다. 김 감독은 “‘그녀에게’를 통해 영화라는 매체 자체가 현실과 허구가 결합되어 만들어지고 그것이 완전히 다른 새로운 의미를 지니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번 영화에서 김 감독은 대략적인 줄거리만 만들어 놓고 촬영에 들어갔다. 2주간의 짧은 촬영 기간이었지만 현장에서 얻을 수 있는 즉흥성을 살리는 데 중점을 뒀다. 이를 통해 배우들은 자연스럽게 연기할 수 있었다. 극중에서 인수는 이름을 묻는 질문에 몇 초간 대답을 못한다. 김 감독은 “배우가 실제로 그 질문을 받는 순간 자신의 이름이 인수인지 우성인지 헷갈릴 정도로 배역에 몰입했다”며 “배우들이 현장에서 대사를 만들기도 하고 즉흥적으로 떠오르는 아이디어가 있으면 시도했다”고 말했다.

‘그녀에게’는 이미지나 영상에 익숙한 젊은 관객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영화다. 개봉관은 서울 광화문 스폰지와 부산 대연동 국도&가람예술관 등 두 곳뿐이다. 나이가 들었다고 생각하는 관객이라면 상상과 현실을 오가는 감독의 연출과 개봉관까지 찾아오는 길이 멀게 느껴질 수도 있다.

한편 ‘그녀에게’는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광진흥개발기금으로 기획한 ‘영화, 한국을 만나다’ 프로젝트 중 부산을 배경으로 한 영화다. 이 프로젝트는 서울, 인천, 강원 춘천, 부산, 제주도를 배경으로 다섯 명의 감독이 각각 다른 도시를 담아내는 작업이다.

박희창 기자 ramblas@donga.com


김성호 감독- 조은령 감독
짧았던 인연 영화속에 재현



‘그녀에게’의 기본설정은 김성호 감독(사진)과 고 조은령 감독의 인연에서 비롯됐다. 2002년 여름 도쿄행 비행기 안에서 김 감독은 조 감독을 우연히 만났다. 김 감독은 단편 ‘스케이트’로 1998년 한국 최초로 칸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었던 조 감독을 먼저 알아보고 인사를 건넸다. 조 감독은 당시 일본의 총련계 조선학교를 배경으로 한 ‘우리 학교’를 촬영하고 있었다. 김 감독은 조 감독이 숙소를 정하지 못했다는 말에 흔쾌히 짐가방을 맡아주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두 사람은 신주쿠의 한 찻집에서 영화에 대한 이야기로 여름밤을 지새웠다.

김 감독이 한국으로 돌아온 이후 두 사람은 좀처럼 만날 기회가 없었다. 서울 명동에서 한번 만났지만 길게 이야기는 나누지 못했다. 김 감독은 2003년 4월 한창 ‘거울 속으로’를 촬영하던 중 조 감독이 자택에서 뇌진탕으로 사망했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다. 김 감독과 조 감독의 만남은 그렇게 김 감독 혼자만의 기억으로 남겨졌다. 아무도 두 사람이 알던 사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김 감독은 시간이 지날수록 2002년 도쿄와 서울에서 만났던 조 감독이 자신만의 상상 속 인물로 여겨졌다.

일주일 동안 혜련과 함께했지만 그녀가 실제로 존재했는지조차 알 수 없는 ‘그녀에게’의 인수는 그래서 세상에 나오게 됐다. 어떤 관계냐는 물음에 “우연히 알게 된 사이”라고 대답할 수밖에 없는 인수는 김 감독 자신의 모습이기도 하다.

박희창 기자 ramblas@donga.com

About this entry


“ 2010.05.06 조이씨네: '그녀에게' 프리뷰 ”

 
그녀에게

감독: 김성호
출연: 이우성, 조성하, 한주영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개봉: 5월 13일



헤드카피

기억을 잃다
기억을 되살리다
기억을 만들다


스토리

캐스팅을 위해 부산에 내려온 영화 감독 인수(이우성)는 여배우에게 시나리오 수정을 요구받아 부산에 머물게 된다. 시력을 잃어가는 병을 앓고 있는 동연(조성하)은 눈앞이 자꾸 흐려지지만 마지막으로 딸 혜련(한주영)의 모습이 보고 싶어 사진 한 장을 들고 부산의 이곳저곳을 수소문한다. 한편, 인수는 우연히 오토바이를 타며 과거의 흔적을 지우는 여행을 하는 혜련을 만난다. 혜련과 가까워진 인수는 그녀의 여행에 동행하며 그녀를 모델로 시나리오를 수정해간다. 인수의 시나리오는 딸을 찾는 동연의 이야기와 과거를 지워나가려는 혜련의 이야기로 얽혀 나가며 점점 알 수 없는 방향으로 흘러간다. 교묘하게 반복되는 기억들 속에서 인수의 시나리오는 어떻게 끝이 날까?

영화를 보기 전에

‘영화, 한국을 만나다’의 네 번째 작품 <그녀에게>는 <거울 속으로>의 김성호 감독이 연출을 맡아 부산의 풍경을 영화 속에 담았다. 김성호 감독은 지난 2003년 급작스런 뇌진탕으로 생을 마감한 고 조은령 감독과의 인연에서 이 영화를 구상했다. 실제 경험이 바탕이 된 이야기지만, 김성호 감독은 소품이나 비주얼, 내용 구성에 있어서 현실과 허구를 오가는 환상적인 설정을 더해 자신만의 판타지를 가감 없이 표현하며 영화를 완성시켰다. 부산을 배경으로 영화는 두 남자가 갖고 있는 한 여인에 대한 기억을 현실과 비현실을 교차하며 모든 관계가 한 줄기로 연결돼있다는 메시지를 환상적인 영상으로 녹여냈다. <그녀에게>는 올해 전주영화제 한국 장편경쟁부문에 진출해 개봉 전 관객들을 먼저 만났다.

놓치지 말 것

<그녀에게>는 여러 면에서 ‘영화, 한국을 만나다’ 프로젝트의 다른 작품들과 차별되는 부분이 많은 영화다. 이전 작품들이 각 도시의 지역성을 영화적인 형식으로 담아내는데 초점을 둔 것과 달리, <그녀에게>는 부산의 지역성보다는 영화 자체의 스토리텔링에 더 많은 비중을 할애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나리오를 쓰기 위해 부산에 내려온 영화 감독과 시력을 잃어가는 병을 앓고 있는 전직 사진작가, 그리고 기억을 지우는 여행을 하고 있는 미지의 여인 등 영화는 각자 나름의 과거를 지닌 세 인물의 이야기를 현실과 허구의 흐릿해진 경계 속에서 펼쳐나간다. 중첩되고 반복되는 이미지를 통해 흐릿하게 오버랩되는 인물들의 사연을 통해 영화는 궁극적으로 한 사람에게 새겨진 ‘기억’의 흔적이 어떻게 그 사람의 삶을 얽매는지를 이야기한다. 쉽게 정리하기 힘든 플롯이 만들어내는 난해함이 낯설게 느껴지지만, 그 난해함이야말로 주인공들이 겪는 혼란과 다를 게 없음을 영화는 말하고 있다.

그래서?

GOOD: 록 밴드 ‘코코어’의 보컬 이우성의 연기자 변신, 팬들에게는 반가운 소식.

BAD: 스토리가 간결하게 정리되는 영화는 아니라는 사실.

About this entry


“ 2010.04.29 브레이크뉴스: 전주국제영화제 추천작 ”

'그녀에게' 등 감성과 실험정신 돋보이는 국내외 장단편 엄선


▲ 올해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부문에 초청된 김성호 감독의 신작 '그녀에게'     ©JIFF2010


그녀에게(SHE CAME FROM)
한국/ 한국경쟁부문/ 2010년/ 82분/ 감독 김성호
 
허구와 현실, 시공간이 뒤섞인 초현실적 이야기로 영화 "거울속으로" 를 만든 김성호 감독의 신작이다. 그의 전작처럼 세련된 미쟝센과 배우들의 연기가 주목할 만하다. 전혀 관계없어 보이는 두 가지 이야기의 캐릭터들이 뫼비우스의 띠처럼 고리처럼 구성한 이 영화는 배우 캐스팅을 위해 부산에 내려온 영화감독이 오토바이를 타는 여자를 만나면서 자신의 시나리오 속 여주인공 캐릭터를 여자로 만들어가면서 벌어지는 에피소드를 그렸다. 20년 전 가족을 떠나 혼자 사는 딸을 찾기 위해 부산을 찾는 이야기가 또 하나의 에피소드가 앞의 에피소드와 얽혀 감독의 시나리오 속 세계와 현실이 뒤섞여 마치 소설 '구운몽'처럼 무엇이 허구고 무엇이 사실인지 모를만큼 관객들의 시선을 이끈다.

About this entry


“ 2010.04.29 리뷰스타: 현실과 환상 오가는 기억 쫓는 '그녀에게' ”

현실과 환상 오가는 기억 쫓는 '그녀에게', 개봉 확정
2010-04-29 15:24
'거울 속으로'로 장편영화 데뷔 이후 '판타스틱 자살소동''황금시대'등의 작품에서 깊은 인상을 남겼던 김성호 감독의 신작 '그녀에게'가 오는 5월 13일 개봉을 확정했다.

'그녀에게'는 시력을 잃어가는 남자 동연이 헤어졌던 딸을 만나기 위해 부산으로 내려와 딸 혜련을 찾아가는 과정과, 영화감독 인수가 여배우를 캐스팅하기 위해 부산으로 내려왔다가 오토바이를 타는 혜련을 우연히 만나면서 벌어지는 두 이야기를 통해 인수와 동연이 각각 그녀, 혜련에 대한 기억을 쫓는 내용이다.

'그녀에게'는 그녀에 대한 기억을 현실과 비현실을 오가도록 교차해 그 모든 관계가 한 줄기로 연결되어 있다는 메시지를 환상적인 영상으로 녹여냈다.

특히 제 각각의 삶을 사는듯한 주인공들은 모두 소중한 사람을 잃는 슬픔을 안고 있다. 세 주인공의 이야기는 결국 세상을 살아가며 타인들과 연결되지 않을 수 없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인 셈이다. 김성호 감독은 그 미묘한 연결 고리를 특유의 감각적인 색감과 몽환적인 음악으로 표현해냈다.

김성호 감독은 1999년 단편 '아이 더 아이 (I the Eye)'로 데뷔, 2003년 색다른 공포영화 '거울 속으로'를 통해 장편에 데뷔하며 충무로 떠오르는 신예 감독으로 주목을 받은 바 있는 실력파다.

이번 '그녀에게'를 통해 그 저력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 김성호 감독은 29일인 오늘 개최되는 제 11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장편경쟁부문에 진출, 개봉 전 관객들과도 만난다.

영화'그녀에게'는 서울, 인천, 춘천, 부산, 제주 등 한국의 다섯 도시를 소재로 하여 제작된 프로젝트 ‘영화, 한국을 만나다’중 '시티 오브 크레인'에 이어 네 번째로 선보이게 된 작품으로, 오는 5월 13일 관객들과 만날 예정이다.

송지우 기자/ idsoft3@reviewstar.net

About this entry


“ 2010.04.29 매일경제: 영화 `그녀에게` 5월 13일 개봉 확정 ”


영화 `거울 속으로`를 통해 장편에 데뷔한 김성호 감독의 신작 `그녀에게`가 오는 5월 13일 개봉을 확정했다.

`그녀에게`는 두 명의 남자 주인공 인수와 동연이 혜련에 대한 기억을 쫒아가면서 스토리가 전개된다. 현실과 비현실을 오가는 그녀에 대한 기억들은 결국 하나의 줄기로 모아지며 세 주인공을 미묘하게 연결시킨다. 공통된 상실의 감정을 지닌 이들의 관계가 환상적인 영상으로 그려진다.

`그녀에게`는 서울, 인천, 춘천, 부산, 제주 등 한국의 다섯 도시를 소재로 하여 제작된 프로젝트 `영화, 한국을 만나다` 중 `시티 오브 크레인`에 이어 네 번째로 선보이게 될 작품으로 기대를 모은다. 또 제11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 장편 경쟁부문에 진출해 29일 관객과 만난다.

한편 김성호 감독은 `거울 속으로`로 데뷔한 이후 `판타스틱 자살 소동` `황금 시대` `눈부신 하루`등의 옴니버스 영화에 꾸준히 참여해 왔다.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김진주 기자]

About this entry


“ Mirrors 2 ”

'거울속으로' 미국 리메이크 'Mirrors' 속편 제작

Mirrors 2

Source: Ryan Rotten, Managing Editor


 Fox Home Entertainment continues to mine their theatrical horror fare for direct-to-DVD 
 sequel potential. This time, it's Alex Aja's 2008 Mirrors, with Kiefer Sutherland, that's now
 getting a follow-up.

 Mirrors 2 is currently rolling in Louisiana. At the helm is Victor Garcia, director of
 Return to House on Haunted Hill and the 30 Days of Night web series, "Blood Trails."
 And scripting is Matt Venne who penned the Masters of Horror episode Pelts,
 an episode of Fear Itself and White Noise 2. Fox is likely going to debut the film later
 next year and we've got a list of the cast members involved including the plot synopsis.

Starring is Nick Stahl as Max Matheson. Jack Matheson, presumably his father, is played by William Katt. Emmanuelle Vaugier, Lawrence Turner, Stephanie Honore, Christy Charlson Romano, Jon Michael Davis, Evan Jones, Wayne Pere, Lance E. Nichols, Ann McKenzie and Jennifer Sipes co-star.

유지태 주연의 <거울 속으로>를 리메이크한 키퍼 서덜랜드 주연의 <미러>.
그 영화의 속편인 <미러 2>의 감독, 스토리가 공개됐다.
‘블러디디스커스팅닷컴’에 따르면 <리턴 투 하우스 온 헌티드 힐>(2007)을 연출했던
빅터 가르시아가 <미러 2>의 감독을 맡는다.

<미러 2>의 스토리는 전편과 유사하다. 영화의 주인공은 자동차 사고로 약혼녀를 잃고서 자살충동에 휩싸인 '맥스 매드슨'이라는 인물. 그는 자신의 아버지가 근무했던 메이플라워 백화점의 야간 경비일을 하게 되는데, 그곳에서 함께 일하던 동료가 처참하게 살해당하고, 백화점 거울에 수상한 젊은 여성이 나타나 주인공과 대화를 시도한다고. 이에 주인공은 자신이 점점 미쳐가며 다음번 희생자가 될지도 모른다는 것에 두려워한다는 이야기다.

<미러 2>는 2009 11월부터 미국 LA에서 촬영에 들어가 이미 프로덕션을 마친 상태며.
공개 시기는 아직 미정이다.


About this entry


“ 2009.12.02 한경닷컴: 영화, 한국을 만나다 제작발표회 ”

[bnt포토] '부산-그녀에게'편의 김성호 감독


12월 2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가든 플레이스에서 '영화, 한국을 만나다'의 제작보고회가 열렸다.

'영화, 한국을 만나다'는 제주도, 서울, 인천, 부산, 춘천을 배경으로 한국 최고의 감독들이 자신의 개성을 살린 다섯 가지의 이야기를 전하는 내용으로 <시티 오브 크레인>을 비롯해 배창호 감독의 <여행>, 윤태용 감독의 <서울>, 부산을 배경으로 한 김성호감독의 <그녀에게>, 제14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관객과 평단의 주목을 받은 전계수 감독의 <뭘 또 그렇게까지> 등 각기 다른 영화들을 한자리에서 만나 볼 수 있는 영화이다.

이날 제작보고회에는 배창호 감독, 윤태용 감독, 문승욱 감독, 김성호 감독, 전계수 감독이 참석하여 질문과 답변시간을 가졌다.

한편, '영화, 한국을 만나다'는 2010년 상반기 극장에서 관객들을 찾아가며 아리랑국제방송을 통해서도 전 세계에 방영될 예정이다.

한경닷컴 bnt뉴스 김란주 기자 eggwine@bntnews.co.kr

About this entry


“ 2009.09.17 상상마당 매거진: '황금시대' 김성호 감독 ”

'황금시대’ 김성호 감독 “영화감독으로서의 삶은 계속 된다”

“도레미파솔라시도...” 단순한 가사와 함께 가슴을 파고드는 멜로디. 조원선은 자신의 첫 솔로 앨범에 수록된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몸 상태가 좋지 않아 병원에 다녀온 그녀지만 노래에 빠져든 순간만큼은 그런 피곤한 기색을 느낄 수 없었다. 노래 한 곡이 끝나자 모두 흥겹게 그녀에게 환호성을 보냈다.
 
3월 8일 밤, 홍대의 물고기 카페. 보컬 조원선에 <삐삐밴드>의 박현준, <문샤이너스>의 손경호가 연주에 참여했지만 그 순간은 단순한 콘서트가 아니었다. 바로 영화 <페니 러버>의 촬영현장이었다. 현장에 취재를 가기 전, “그녀는 하룻밤 잠자리를 같이 한 어린 소년으로부터 십 원짜리 동전을 받는다”는 내용의 시놉시스를 전주국제영화제 홍보팀으로부터 받았다. 한 여가수가 잠깐 한 소년과 사랑에 빠진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소년은 다른 여자 친구가 생긴다. 그런데 그녀는 흘러가듯 만난 그 소년을 잊지 못한다. 그 사랑은 십 원짜리 동전처럼 그녀의 지갑 안에 쏙 들어와 있다. 동전을 버리려 하지만 생각처럼 쉽지 않다. 편의점에서 10원짜리 동전을 놓고 실랑이를 버리는 모습이 어떻게 펼쳐질지 궁금했다. <거울 속으로>, <해피 버스데이>의 김성호 감독이 찍는 단편이었기에 더욱 그러했다.
 

 ▲영화 ‘Penny Lover’, 감독 김성호, 주연 조원선, 유형근, 박현준, 이준오


그 후로 6개월이 지나 상상마당에서 김성호 감독을 만났다(상상마당에서 <판타스틱 자살소동>이 상영된 것을 생각하면 그는 이곳과의 인연이 깊어지고 있다). 새로운 프로젝트로 부산에서 촬영을 마치고 돌아온 그는 여전히 바쁜 나날들을 보내고 있었다. 그의 영화는 장르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스토리를 실험해 나간다. 김성호 감독의 표현대로라면 그의 영화에 원천이 되는 것은 ‘생활 판타지’다. 늘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그 사이에서 신중하게 세상을 견지한다. 영화를 시작하던 순간부터 최근 프로젝트까지 김성호 감독의 이야기를 듣다보니, 영화감독의 시간은 다르다는 생각에 이르렀다. 아니, 세상을 포착하기 위해 다르게 흘러야만 한다.

우리는 늘 뭔가 당장 해내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다. 그 실체도 모르면서 분주하게 쫓긴다. 그런 생활 패턴에서 한 발 벗어날 수 있다면 김성호의 영화가 더욱 친근하게 다가올 것이다. 그의 상상력에 날개를 달아주는 것은 일상에서 약간 벗어난 느림이다. 어느 때는 회상이 되고, 어느 때는 환상이 된다. 영화 현장에 서면 시간과의 싸움을 피할 수 없는 직업이지만, 김성호는 영화감독으로서 삶과 자신만의 속도를 즐기고 있다. 조금은 천천히 걸어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코 지치지 않을 게 분명하다. <거울 속으로>이후 6년이 흘렀다. 그리고 앞으로 6년 후, 그가 어디에 도착할지 궁금해지는 건 당연한 일이다.
 


Q: <거울 속으로>가 할리우드에서 <미러>로 리메이크되었다. 작년 9월에 개봉을 했었는데, 어떻게 봤나?

일단 재미있게 봤다. <거울 속으로>는 내 장편 데뷔작이었기에 기대하는 바가 있었다. 뉴욕에 유학 갔다 와서 바로 시작했던 영화라서 작품을 끝내고 나서는 아쉬운 게 많았다. 이걸 미국에서 리메이크한다고 할 적에, 내가 원래 원했던 정도까지 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도 있었다. 물론 기대한 만큼은 아니었다. 기본적으로 알렉산더 아자 감독(<힐즈 아이즈>)이 하드고어를 찍는 사람이기 때문에 원래 영화 컨셉트하고는 다른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생각은 했었다. 그런 부분은 안 맞았다.

<거울 속으로>가 갖고 있는 철학적인 부분을 좀 더 깊이 있게 드러내기를 희망했지만, 오히려 그 부분은 피해간 느낌이었다. 아무래도 그런 건 아쉽다. 하지만 영화 모양새나 비주얼적인 부분은 할리우드적인 요소가 살아있어서 재미있었다.


Q: <거울 속으로>와는 달리 <미러>는 깜짝 놀랄 정도로 잔인했다.

영화 보면서 “나도 이렇게 잔인하게 할 걸 그랬나?”하는 생각도 들었다.(웃음)


Q: <주온>을 할리우드에서 <그루지>로 리메이크하는 데는 프로듀서 이치세 다카시게의 힘이 컸다. 원작을 만든 일본 제작자와 감독이 함께 할리우드 진출하는 반면에 국내 영화는 시나리오만 판매되는 경향이 있다.

그렇다. 일본 영화들의 힘도 있지만, 미국에서 그쪽과의 커넥션이 있다는 게 중요하다. 반면 한국은 마켓에 와서 영화보고 가져가는 거니까. 그 이후의 상황은 전혀 모른다. 연락이나 피드백을 받지 못한다. 영화가 나와야 만든 걸 아는 상황이니까, 그러다보니 리메이크하면서 원작의 정서적인 부분을 놓치고 가는 게 많다.

Q: 3편의 중편을 모은 옴니버스 영화 <판타스틱 자살 소동>에서 <해피 버스데이>도 인상적이었다. 임춘봉이란 캐릭터가 특이했다.

게이 커뮤니티에서 살아가는 카페 주인 임춘봉의 이야기다. 이 영화를 구상한 것은 10년 전이다. 그런 늙은 게이를 본 적이 있다. 뉴욕에 있을 때 식당에서 일을 했는데, 거기에 항상 점심마다 밥을 먹으러 오는 게이 커플이 있었다. 그 분들을 보면서 이야기를 만들어보자고 준비해서 <해피 버스데이>의 시초격인 이야기가 하나 나왔다. 그걸 오랫동안 갖고 있다가 <판타스틱 자살 소동>을 하면서 이야기를 좀 바꾸어서 만들게 된 거다. 미국이란 무대를 한국적인 상황으로 이야기를 바꾸면서, 한국에서 노인 게이 커플이 얼마나 존재하는가 알기 위해서 리서치를 했었다.

 ▲ 영화 ‘황금시대-패니러버’의 김성호 감독


Q: 그런 커플이 실제로 한국에 많이 있나?

의외로 굉장히 많다. ‘친구 사이’가 협조를 해주셔서 소개를 받았다. 종로 쪽에 나이 드신 게이 커플이 있다. 취재를 했었는데, 종로에 50, 60대 게이 커플들이 잘 가는 술집이나 다방 같은 곳이 100곳이 넘는다.


Q: 와, 몰랐는데 진짜 많다.

실제로 가면 분위기가 다르다. <메종 드 히미코>를 보면 여성화되거나 트랜스젠더 같은 분위기지만, 이곳의 게이들은 남성적인 느낌이 강하다. 술을 좀 마시거나 상대가 좀 편해지면 여성성이 나오지만 겉으로 보기에는 양복입고 넥타이를 한 분들이 많다. 그래서 어떤 식으로 컨셉트를 잡을까 고민하다가 리서치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적으로 만들어 본 거다.
 

Q: 여성스런 게이를 모델로 했다가 강도를 줄인 건가?

한국에서는 그런 모델이 트랜스젠더를 빼놓고는 없다. 어느 정도 모양새를 숨기기 때문에, 내가 미국에서 봤던 인물의 컨셉트를 접고 이미지를 죽였다. 그렇다고 너무 한국적으로만 가면 재미가 없기 때문에 그걸 믹스했다고 보면 된다.
 

Q: 전에 김조광수 대표님과 인터뷰하면서, 게이들이 가라오케나 노래방에서 노래 부르는 걸 굉장히 좋아한다고 들었다.

주로 가라오케다. 술 마시다가 끌고 나와서 춤추고. 다들 정말 좋아하시는 것 같다. 그 분들은 “일반, 이반이다”라고 하면서 다른 일반 사람들이 오는 것에 대해 폐쇄적이다. 여자도 못 들어온다. 분위기가 무르익으면 혼자서 술 마시던 분들이 나와서 노래도 하고 춤을 춘다. 그때 확 바꾸면서 본연의 모습이 드러난다. 그런 것들이 재미있었다.


Q: 엔딩에서 생일 파티에 나오던 음악 연주가 재미있었다. 거기서 나오는 노인들은 어떻게 캐스팅했나?

그분들은 노인 밴드다. 주로 노인정을 다니면서 연주를 하신다. 처음에 시나리오를 썼을 때 연주를 하는 노인들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을 해서 섭외를 했다. 수소문을 했던 건데, 그분들이 방송에도 출연한 적이 있었다. 좀 금액도 드려야 하는 상황이었다. 영화 찍을 때는 워낙 술을 많이 마시고 오셔서 굉장히 힘들게 촬영했다. 음악 감독이 만들어서 드린 음악을 하루 연습하고 녹음했다.



Q: <거울 속으로>, <해피 버스데이>, 그리고 이번 <황금시대>의 <페니 러버>까지. 다양한 스타일이라서 김성호 감독의 색깔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되었다.

장르라든가 이야기의 특성을 잡아내는 데 있어서, 남다른 부분들이 있는 것 같다. 나 장르를 고집하거나 한 스타일을 잡고 가진 않는다. <거울 속으로>를 시작할 때도 공포 영화를 좋아하거나 마니아적인 습성보다는, 이런 소재를 갖고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 볼 수 있을까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가만히 보면 영화의 장르적인 스타일보다는 내러티브에 더 관심을 갖고 있는 것 같다.

<보물섬>이나 <해피 버스데이>도 그렇고 이야기의 트위스트적인 부분에 흥미를 갖고 있다. 그런 부분들을 늘 잡고 가는 것 같다. 장르와 상관없이 이야기마다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믹스하려고 한다. 그것이 내면적인 세계가 될 수도 있고, 판타지적인 부분이 될 수도 있다. 사실은 장르를 떠나서 크게 보면 판타지적인 요소는 갖고 있다. 그런 걸 좋아한다.


Q: 판타지라면 구체적으로 어떤 요소인가?

본격적인 SF판타지가 아니라 뭐랄까 생활 판타지다. 일상에서 일어나는 판타지! 지나가다 보면 “어, 뭔가 이런 게 아니었을까”하는 생각이 드는 것들이 있다. <거울 속으로>의 거울이나 <해피 버스데이>의 생일 파티에도 그런 요소들이 배어있는 것처럼. 혹시 그게 다른 것이 아니었을까 하며 생각하는 게 재미있다.


Q: <황금시대>의 반장 감독님이었는데, 그렇다면 후배들 군기도 잡고 그런 건가?(웃음)

그런 건 아니다.(웃음) 워낙 감독들이 게으르고 말을 안 듣기 때문에... 10명이나 되는 사람들을 커뮤니케이션하기 어렵다. 그래서 한 명만 정해서 간 거다. 인디스토리에서 옴니버스 영화를 3번째 하는 건데, 이런 영화를 하면 기술적인 부분에서 할 이야기가 있다. 매번 할 때마다 시행착오를 하기 때문에 미리 이렇게 해야 한다고 제안을 했더니, 매끄럽게 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진행을 해달라고 부탁하더라. 이송희일이나 김영남 감독 등은 영화 찍고 있어서 다 바쁠 때였다. 비교적 내가 좀 한가했다. 한가한 김에 하겠다고 나섰다.(웃음)


Q: 가수 분들과 친분이 많다고 들었다. 감독님의 외모도 가수 스타일이기도 하고.

하하하. 가수들하고 친한 것은 아니다. 얼마 전까지 홍대에서 살고 있었다. 그러다 보니 홍대에 계시는 아티스트들을 좀 알게 되었다. 술 마시고 이야기를 하다 보면 다 건너서 알게 된다. 유일하게 조원선 씨만 알고 지냈다. 우연히 뉴욕에서 만나서 지금까지 연락이 되는 친구다. 어떻게 따지면 많이 아는 건 아니다.
 
거의 10년 전에 롤러코스터가 뉴욕에 놀러온 적이 있다. 당시 공부할 때였는데, 우연치 않게 뮤직비디오를 하나 찍어보겠다고 롤러코스터 음악을 골라 놓았다. 마침 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같이 준비하던 조감독이 조원선 씨와 알고 있어서 연락이 되었다. 만나서 인사하고, 롤러코스터 음악으로 작업해도 되겠느냐고 허락을 받았다. 우리 집에도 놀러오고 술도 마시면서 친해졌다. 그리고 헤어졌는데, 이상하게 그 후에 가는 곳마다 원선 씨를 만났다. 내가 많이 다니는 것도 아닌데, 동네 클럽이나 카페에서도 만나고. 어디 식당 가도 만나고. 하다못해 후지록페스티벌에 갔는데 그 넓은데서 아무도 모르는데 유일하게 원선 씨를 만났다. 너무 신기했다. 그 인연으로 계속 연락이 되었다.


Q: 와와, 그렇다면 가수 조원선이 <페니 러버>의 주인공인 된 것은 운명적인 거다.

▲ 영화 ‘황금시대-패니러버’ 조원선


그렇다고 본다. 예전부터 연기를 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이번에 마침 신곡 발표해서 그 음악을 영화에 썼다. 덕분에 영화적으로 잘 풀렸다.


Q: 조원선이 영화음악을 해도 분위기 있을 것 같다.


내가 연락을 해서 만나자고 했을 때 영화음악 맡기려고 그런 줄 알았다고 하더라. 음악을 하는 거냐고 물어봤지만 그게 아니라 배우를 해달라고 부탁했다. 약간 당황을 했었다.


Q: 조원선의 음악은 자신만의 색채가 있다. 하지만 연기를 잘 하는 것과는 별개의 문제다. 부담스러워 했을 것 같다.

내가 본 바로는 원선 씨는 연기에 대한 끼가 있었다. 뭔가 해보고 싶었던 마음이 있는 걸로 보였다. 어차피 처음이라 물어봤더니 앨범 준비하느라 바쁜 때 인데도, 운 좋게 딱 3일이 남았다. 본인은 사실 코믹한 연기를 하고 싶어 했다. 그런 영화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Q: 조원선이 코믹 연기를 하는 건 상상이 안 간다.

본인은 그런 걸 하고 싶어 했다. 만나면 재미있는 사람이다. 이런저런 얘기 잘 하고 잘 놀고. 옆에서 목소리나 이야기하는 걸 보면서 연기를 해도 잘나오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결국 의기투합해서 “한 번 해보자”라고 한 거다. 원선 씨가 작업에 합류했을 때는 완성된 시나리오는 아니었고, 원선 씨와 논의하면서 시나리오도 변했다.

원선 씨를 있는 그대로 하기 위해서 캐릭터의 직업도 가수로 바꾸었다. 원선 씨의 캐릭터를 그대로 살렸다. 처음에는 30대 중반의 여자와 10대 후반의 남자, 그들이 세월이 흐르면서 어떻게 변하는지에 초점이었다. 그러나 원선 씨가 연기를 한 적이 없으니, 뭘 만들어놓고 억지로 껴 맞추기보다는... 원선 씨가 편하게 할 수 있는 캐릭터를 만들어냈다. 그녀와 이야기하면서 시나리오를 수정했다. 콘서트와 공연 신도 들어가고. 그렇게 가수라는 캐릭터가 만들어졌다.

한물 간 상태에서 소년과 다시 만났을 때 관계가 어떻게 변하는지 보여준다. 노래도 마음에 들어서 직접 연주하는 것도 넣고. 새 앨범에 나온 4곡(조원선의 솔로 앨범 <Swallow>)을 삽입했다. 영화적 분위기와도 맞았다. ‘도레미파솔라시도’, ‘천천히’의 가사들이 여자 캐릭터와 어울렸다. “난 왜 쓸데없는 짓을 할까, 왜 나는 남들과 다를까” 하는 식의 가사들이 좋았다. 이 노래를 쓰면 간접적으로나마 캐릭터의 감정을 전달할 수 있겠다고 봤다.


Q: <페니 러버>의 연애가 경험에서 나온 건가? 혹은 특별한 동기가 있었나?

경험에서 나온 건 아니다. 이야기는 같이 만들었다. 내가 추계예술대학교에서 강의를 하는데, 학생들과의 워크샵이 있었다. 같이 모여서 이야기하다가 나온 거 였다. 그 때 한 학생이 원조교제 같은 이야기를 꺼내놓았는데, 거기서 이야기를 발전시켜 봤다. 30대 중반의 여자와 10대 후반의 남자, 그 남녀의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볼까 고민했다. 그러다가 <황금시대>의 주제에 맞춰 돈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야 하니까, 10원짜리 동전에 대한 걸 집어넣었다. 시나리오를 같이 한 친구가 있다. 둘이서 이야기를 더 발전시켰다.


Q: 동전에 뭔가를 적어주는 것은 재미있는 아이디어다.



특별히 그런 경험은 없었지만, 그 친구가 여자였기 때문에 30대 여성의 심리적인 부분을 더 부각시켰다. 동전에 뭘 쓰는 건 순전히 아이디어를 낸 거다. 원래는 거기다 다른 말을 쓰는 건데, 동전에 년도가 있으니까 그걸 생일로 하면 어떨까 해서, 날짜를 적어 넣었다. 거의 다 순수한 상상에서 나온 거다.


Q: 인터뷰 전까지 계속 촬영을 하다가 왔다고 들었다. 차기작은 무엇인가?


아리랑 TV에서 시작한 프로젝트인데, 디앤디미디에서 제작했다. (총 10부작으로 제작될 ‘영화, 한국을 만나다’는 촬영을 마친 뒤 2, 3개 부로 각각 묶여 10월 부산국제영화제에 출품될 예정이며, 극장 개봉도 추진될 예정이다). 일단 편집중인데 개봉은 더 지켜봐야 한다. 그 후엔 TV를 통해 방영된다. 자세한 건 나와 봐야 알 것 같다.

배창호 감독님이 제주도, 전계수 감독이 춘천, 문승욱 감독이 인천, 윤태용 감독이 서울을 각각 맡아서 작업하고 있다. 난 얼마 전에 부산을 가서 2주 동안 촬영하고 왔다. 1억짜리 저예산 영화다. <그녀에게>라는 영화다. 한 번 더 음악하는 사람과 영화를 찍었다. 이우성이라고 <코코어> 밴드에서 보컬하는 분이다. 여배우는 신인으로 오디션으로 뽑았다. 독립영화 많이 하시는 조성하 씨도 나오고. 부산에서 일어나는 일을 담았지만 뒤로 갈수록 판타지로 변한다. 이우성이 영화감독으로 나오고 부산에 촬영 중인 여배우에게 시나리오를 보여주기 위해 온다. 여배우가 여자 캐릭터를 멋지게 바꾸었으면 좋겠다고 하는 바람에, 일주일 동안 시나리오를 고친다. 시나리오를 고민하는데, 우연히 오토바이를 탄 여자를 보게 되어서 그녀를 모델로 삼겠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녀를 쫓아다니면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Q: 소문난 홍대 피플이라서 재밌는 이야기 좀 부탁하려했으나, 최근에 홍대를 떠났다고 정보를 입수했다. 홍대의 상업적인 변화 때문인가?

홍대에서 4년을 지내다가, 얼마 전에 떠났다. 동네가 너무 비싸져서 더 이상 있을 수가 없다. 비싸니까 바깥으로 나가는 것도 있고. 정말 시끄러워졌다. 조용히 작업할 수 있는 분위기가 아닌 것 같다. 처음에 왔을 때만 해도 주위의 아티스트들이 작업도 하고 조용히 술도 마시고 했는데, 그 사이에 너무 많이 변했다. 다들 연희동, 연남동으로 많이 빠진 것 같다. 나도 거의 끝물이었다. 내가 아는 분들은 이미 다 나갔다. 나도 연희동으로 갔는데, 조용하더라. 정말 조용한 곳을 가려면 서울을 빠져나가야 하는데, 아무래도 문화적인 것과 교류를 생각하다 보니 부근에 있는 거다. 서울을 빠져나가면 고립된 느낌이라 그건 싫다.


Q: 관객과의 소통이나 취향을 의식하는 건가?

관객이나 대중과의 취향을 알려고 한다면 차라리 가로수길에 있는 것이 낫다. 좋아하는 것과 가까운데 있어서, 좋아하는 일을 계속하려는 생각이다. 내가 원하는 것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그걸 사람들이 좋아하면 다행이 좋은 거고.


Q: 계속 내러티브에 관심을 갖는다는 말에 대해서 부연 설명을 듣고 싶다.

영화를 찍으면서 배운다는 생각을 많이 하고 있다. 이것저것 많이 하고 싶다. 아직 젊고 시간이 많이 있다고 본다. 급하게 마음먹지 말고, 조급하게 굴지 않고, 원하는 것들을 많이 해보자는 주의다. 너무 멀리 이야기를 찾기보다는 가까운 주변에서 찾는 게 좋다. 나이가 들며 좀 더 인생에 대해 깊이 있는 이야기를 해보고 싶다. 조금 더 경험이 필요하다. 연륜이 생기면 드라마적인 이야기로 나갈 거다. 지금은 좀 더 영화적인 소재나 판타지로 이야기를 만드는 게 재밌다. 판타지나 스릴러에 더 관심이 생긴다. 기회나 시나리오가 있으면 다른 것들을 도전해 보는 것도 좋다. 계속 추구하는 것은 조금 더 새로운 방식을 찾아내는 것이다. 내러티브도 좀 더 다른 방식으로 실험적으로 시도하고.


Q: 어느 감독의 영향을 많이 받은 편인가?

대학 졸업하고 영화를 시작한 편이라, 영화 마니아는 아니었다. 영화 공부하면서 많은 걸 배웠다. 새로운 것들을 뒤늦게 찾아보는 편이었다. 어렸을 때는 스필버그 영화를 좋아했다. 영화를 공부해보자고 마음먹은 후에는, 좋아하는 사람들이 뉴욕 베이스의 감독들이었다. 뉴욕 인디펜던트 영화들을 보면서 문화적 충격을 받았다. 그래서 뉴욕으로 가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면서 다른 영화들, 새로운 영화들이 많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런 부분들을 나도 시도해보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상업 영화와 뉴욕에서 봤던 영화들끼리 충돌을 하면서, 어느 정도 믹스가 되는 게 재미있었다. 앞으로도 그 사이를 줄타기를 할 것 같다. 단순히 예술영화와 상업영화의 경계로 두지 않고, 그것들을 믹스하는 방법이 있을 거라고 본다. 내가 그런 방법들을 시도하는 것 같다.


Q: 해마다 선댄스 영화제에서 주목받은 영화들이 그런 성향이 많은 것 같다.

할리우드도 많이 변하고 있다. 예전 같으면 상업적인 코드 내에서 용납이 안 될 것들도 지금은 받아들여진다. 확실히 발 빠르고 스마트한 감독들이 많다는 생각이 든다. 안주하면 살아남을 수가 없으니까. 그런 돌파구를 마련하는 것이 생각보다 빨리 진행된다는 느낌이다. 처음에 <거울 속으로>할 때는 한국에서는 할리우드적인 문법을 잘 본 적이 없었다. 제대로 해보자는 생각이었다. 그렇게 만드는 사이에도, 문법이 바뀌거나 무너지고 있다. 그런 것들에 대한 빠른 포착과 이용은 필요하다. <거울 속으로>는 할리우드의 상업적인 코드를 갖고 오려 했지만 적절하게 활용을 못했다. 당시에는 그걸 해석하거나 만들어내는 능력이 없었다.


Q: 다양한 영화를 시도하기에는 지금 한국 영화의 여건이 너무 어렵다.

오히려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사실 어느 정도 예견된 상황이었다. 언젠가 거품이 다 빠질 것이고 내공 있는 감독들만 남을 것이다. 살아남는 방법들을 찾아나갈 것이다. 얼렁뚱땅 자본의 논리가 아니라, 연출자의 창작능력과 살아남을 수 있는 생존방식이 드러날 것이다. 작년에서 올해를 지나가면서 더 그런 게 드러나는 것 같다. 한국의 문화적 토대는 넓지도 깊지도 않다. 영화가 하나 뻥 터지면 덩달아서 가고, 안 되면 망하고, 기복이 심한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그 속에서도 영화를 만들고자 하는 욕구가 늘 있었다. 내가 보기에는 지금부터 달라진 영화나 새로운 영화가 출연할 거다. 사실 일본 영화들이 산업적으로 변화를 밟아온 대로 한국영화도 그렇게 될 거라 본다. 큰 영화는 큰 대로 가고, 작은 영화는 작은 대로 가고. 대신 좀 넓어지면 개개인이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다. 각개전투로. 지금이 그럴 때다.


Q: 그런 상황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자신만의 대처방안은 있나?

일단 데뷔작 <거울 속으로>를 통해서 상업 영화계에 발을 담궜다. 기본적으로 제반 요소를 충족시켜야 영화가 들어가는 것이기에, 많은 감독들이 캐스팅이나 투자 부분에 대해서 오랜 시간을 기다리다 보니 영화에서 점점 멀어진다. 그러다 영화를 못 찍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냥 영화를 찍는 상황이 좋아지기를 기다리는 것은 감독으로서 사명감이 아니다. 끊임없이 작업을 하고 있어야 영화감독이다. 그래야 영화를 만들고 있다는 생각도 들고.

그래서 옴니버스이든 단편이든 계속 작업을 하자는 생각이었다. 그렇게 방법을 찾다보면 또 기회가 찾아온다. 어쨌든 작업하면서 실력을 키울 수고 있고, 더욱 배워나갈 수도 있다. 그야말로 시나리오만 쓰고 있다고 영화적인 실력이 늘어나는 것은 아니다. 어떡하든 방법을 찾아서 하자는 주의다. 예산이 작으면 작은 대로. 뭔가 작업을 하고 있는 것이 살아남는 방법이다. 영화 동료 만나면 몇 년째 시나리오를 쓰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는데,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 뭐든 찍고 있고, 뭐든 만들고 있어야 한다. 요즘 같은 상황에서는 천 만원이면 장편 만들 수 있고. 2주면 영화 한 편 찍을 수 있는 상황이다. 카메라 한 대와 컴퓨터 한 대만 있으면 영화가 가능하다. 영화를 만들려고 하는 욕구가 있다면 방법을 찾으려고 하는 게 맞다.


Q: 10명의 감독이 참여한 <황금시대>에서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단편이 있었다면 추천을 바란다.

워낙에 많다. 하나하나 깜짝 놀랐던 부분들이 있었다. 다들 뛰어난 감독들이라서 500만원이라는 작은 돈으로 어떻게 만들지 궁금했다. 쇼킹할 정도로 많이 놀랐다. 정말 스타일도 다 다르고, 각자 잘 할 수 있는 분야들이 다르다는 생각이 들었다. 무엇보다 경제적으로 찍는 방식이 좋았다.

사실 그 돈으로 영화를 찍는다는 게 버거울 수 있다. 500만원 이상의 욕심을 부린다면 영화적 완성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500만원 예산 내에서 계획을 세우고 대안을 갖고 만들어야 했다. 만들면서 “내가 또 오버했구나, 욕심을 부렸구나”라고 느꼈다. 욕심 부리지 않고 한도 내에서 끝내는 것에 많이 놀랐던 것 같다. 그런 면에서 이송희일 감독의 영화 <불안>이 가장 경제적이었다. 할 수 있는 부분들을 잘 뽑아냈다. 보면서 영화를 이렇게 찍는 게 맞다는 생각이 들었다. 욕심 부리지 않고 10분 내에 갈 수 있는 한, 가장 깊게 가야 한다. 그런 부분들을 뽑아낼 수 있는 연출력이 필요하다. 스마트한 감독이다.


Q: 단편을 잘 찍을 수 있는 노하우가 있다면?

단편이든 저예산이든, 일단 예산에 맞춰야 한다. (웃음) 시나리오 단계부터 그 예산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500만원짜리 영화라면 그 한도 내에서 할 수 있는 게 무엇인지 찾아야 한다. 거기에 맞춰서 시나리오도 쓰고. 그건 배우나 소품도 다 마찬가지다. 없는 것들을 만들어내기는 어려우니까, 주변에 있는 것들을 최대한 활용하게 된다. 내가 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해야 하니 아는 사람들, 선배들을 총동원하는 거다. 사실 그 분들한테 빚을 지는 거다. 정말 그들에게 한 번만 도와달라고 하는 거다. 다들 공유하는 부분이 있는 거다. 지금은 어렵지만 좋은 기회가 있을 것이고. 서로 일종의 약속이다. 신뢰감이 있기 마련이다. 그러니 평소에 좋은 인간관계를 갖고 있기는 해야 한다. 좋은 인간 관계가 있어야 영화를 찍을 수 있다. 아니면 혼자서 찍어야 한다. 이것도 마찬가지다. 주변에 나밖에 없다면 내가 하는 거고, 촬영감독이 있다면 바로 부탁하고.


Q: 권종관 감독이 지난 번 인터뷰에서 김성호 감독께 궁금한 거 없냐고 물어보자, “젊음을 유지하는 비결”을 꼭 물어보라고 하더라. 이런 질문을 하니 꼭 릴레이 인터뷰 같다.

나한테?(웃음) 사실 많이 가려서 그렇다. 가려서 안 보이는 거다. 애가 둘이다. 순전히 연막  작전이라고 볼 수 있다. 겨울 되면 더 안 보이고, 여름 되면 더 잘 보이고, 뭐 그렇다.

Q: 영화계 인사들에게 김성호 감독이 굉장히 재미있게 사는 분이라고 소문을 들었다. 요즘 즐거운 일이 없을까? 사는 게 팍팍해서 뭔가 색다른 에너지가 필요하다.

영화 찍을 때가 제일 재미있다. 부산 촬영이 2주라서 일정이 무척 빡빡했는데 그런데도 매우 재미있게 찍었다. 이젠 가족이 있어서 혼자서 뭘 하길 쉽지 않다. 남들처럼 영화나 책을 보고 음악 듣는 정도다. 원래는 여행 다니는 걸 좋아한다. 여유가 있을 때는 많이 다녔는데 요즘은 쉽지 않다. 개인적으로 제일 좋은 곳은 오키나와였던 것 같다. 너무 좋아서 몇 번 갔었다. 하지만 요즘은 경제력이 안 되니까 제주도로 간다.(웃음) 오키나와는 한적한 느낌도 있고, 붐비지도 않는다. 동네에 노인들 밖에 없다. 거기에 가면 좀 쉰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아무래도 남쪽이라서 한국하고는 풍광도 다르고 열대성이 느낌이 많이 난다. 가면 이국적인 느낌이 많이 난다. 마음도 편해지고. 작업할 때는 혼자 있는 시간을 마련하려고 하지만 쉽지 않다. 시나리오 쓸 때만 잠깐 떠나 있는 시간을 갖는다. 그런게 괴롭기도 하지만 나름 즐기는 편이다. 평소에는 애들 본다. 첫째가 다섯 살, 둘째가 돌 지났다.


Q: 요즘은 패션지 기자들한테 제주도 올레길이 핫 트렌드로 떠올랐다.

난 올레길에서 걷지는 않았고 렌트 차로 다녔다. 지난번에 가보니까 정말 거기서 걷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예전에는 걷는 분들이 별로 없었다. 황금시대의 채기 감독은 제주도에 계신다. 서울을 정리하고 이사를 해서 거기서 사신다.


Q: 그렇다면 뉴욕에 있을 때는 어땠나?

유학시절에는 오히려 경제력이 더 안 좋아서 어디로 가질 못했다. 많이 돌아다니지도 않았다. 재미있는 동네라서 다른 곳에 갈 이유도 없었다. 뉴욕 안에서 재미있게 지내려 했다. 뉴욕은 갤러리나 뮤지엄, 소호 등등. 좋은 곳이 아주 많다. 짧게 여행가면 남들이 가는 곳만 갈 수밖에 없다. 사실은 오래 있으면 거기 사는 사람들이 가는 곳을 알게 되니까 그런데서 많이 놀고 지냈다. 이스트빌리지 쪽의 바나 카페나 클럽이라든가. 차이나타운에도 재미있는 곳이 많고. 하지만 뉴욕도 워낙 많이 변하다 보니까.


Q: 한국에 있으면 그런 문화들이 서서히 유입되는 게 느껴지나?

한국에 그런 문화가 들어오기는 하는데, 굉장히 고급화 되어서 들어온다. 사실 뉴욕에 같이 있던 사람들이 고급스러운데는 같이 잘 안 간다. 싸면서 재미있는 곳을 찾는다. 정작 그런 것들은 여기로 많이 안 들어온다. 그나마 홍대 쪽이 아티스트들을 베이스로 해서 활동들이 있기는 하다. 홍대가 가장 비슷하다.


Q: 혹시 애를 업고 마트 갈 때도 선글라스 쓰고 가나? 워낙 에지가 있으셔서(웃음)

그야 하던 게 있으니까. 나갈 때 유모차 끌고 가니까 다들 반긴다.(웃음) 요즘은 문화가 변했다. 남자들이 애 업고 밥 먹이고. 많이 한다. 예전 같지 않다. 그런 걸 직접 다 해야 한다. 안 그러면 이혼 당한다. (웃음) 밖에서는 영화로 살아남아야 하고, 집에서는 그렇게 해서 살아남아야 한다. 뭐든지 해야 한다.


Q: 요즘 삶에서 바라는 점이 있다면?

정권의 누가 좀 물러났으면 좋겠다.(웃음) 요즘 여유가 없다는 생각 많이 한다. 서울에서 사는 게 힘들어서. 너무 빠르게 변하니까 따라가기도 힘들다. 사람들이 주인이 되어서 자신의 삶을 영위해야 한다. 주위환경이 빨리 변하니 그저 따라가야 하는 상황이 생긴다. 나도 모르게 서울에 살면서 뒤쳐진다는 느낌이 들기도 하고. 왠지 뭔가를 바꿔야 할 것 같은 생각도 들고. 그게 정말 싫다. 편하게 내가 하고 싶은 대로 살면 좋은데, 한국은 뭐든 정말 빨리 바뀐다. 오키나와가 좋았던 것도, 옛날 게 그대로 있다는 점이었다. 느긋하게 천천히 흐른다. 반면 서울은 자꾸 변하고 없어지고 달라지고 새로운 게 생긴다. 그것만큼은 정말 싫은 거 같다. 계속 이런 상황이라면 빨리 떠나야겠다는 생각마저 든다. 갖고 있는 것들을 조금 더 오래 봤으면 좋겠다. 오래 놓아두거나 가지고 있으면 좋겠는데, 왜 이렇게 바꾸려고 하는지! 정말 정권이 변한 이후로 더 많은 것이 변하고 있다.


Q: 그렇다면 앞으로 어떻게 살면 좋을까?

재미있게 살아야지! 다들 밖을 내다보지 않는다. 앞으로 갈 뿐 뭘 해도 되돌아보지 않는다. 이제 나이가 들면서 내가 어떻게 변하는지 바라보고 있다. 그렇게 사는 게 좋다.


글    | 전종혁 기자

사진 | 이란

작성일 2009.09.17


About this entry


“ 눈부신 하루 DVD 출시 ”




 
::: 작품 기본정보
감독 : 김성호, 김종관, 민동현
주연 : 모리 유키에, 서영화, 김동영, 정대훈, 이소연, 시오다 사다하루
상영시간 : 본편 133분 + 부가영상 75분  
관람등급 : 12세 이상


::: 제품정보

화면 : Fullscreen 4:3, NTSC
오디오 : Dolby Digital 2.0
더빙 : 한국어, 일본어
자막 : 한국어, 영어
지역코드 : Region ALL

::: Special Contents

- 보물섬 The Treasure Island
M/V_Moon Patrol
COCORE|2007|5min 30sec|촬영․편집․제작 김성호

Still_에이코가 담은 <보물섬> 여정의 기억들
2min 50sec|촬영 서영화|편집 김성호|음악 Sagitta 2집 보물섬

엄마 찾아 삼만리 Good-Bye
단편영화_기다린다Waiting
김종관|2007|24min|Color

공항남녀 The Beautiful Strangers
M/V_공항남녀
PLASTIC PEOPLE|2006|3min 56sec|편집 민동현

M/V_오후3시
PLASTIC PEOPLE|2006|4min 4sec|연출 민동현 |제작 우하하필름|카바레 사운드

Still_음악 사거리 연가 플라스틱 피플 사진 안도 다이스케

눈부신 하루 One Shinning Day
개봉 축하공연(2006년 2월 25일, 시네코아, 아마추어 증폭기, 플라스틱 피플)
개봉 첫날 무대인사 및 관객과의 대화

About this entry


“ 2009.05.01 스타투데이: 김성호 감독, “500만원이 10년의 희망을 전했다" ”

김성호 감독, “500만원이 10년의 희망을 전했다"

제10회 전주국제영화제의 문을 연 개막작 ‘숏!숏!숏! 2009:황금시대’(이하 숏!숏!숏! 2009)의 연출에 참여한 김성호 감독이 한국 영화계에 희망의 메시지를 전했다.

김성호 감독은 전주국제영화제의 10주년을 맞아 10편의 단편 영화를 모아 제작한 옴니버스 영화 ‘숏!숏!숏! 2009’ 중 ‘페니러버’의 연출을 하면서 겪은 소회를 밝혔다. 김 감독은 “500만원이란 작은 예산으로 힘들고 어렵게 촬영했지만 이번 작업을 통해 앞으로 10년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면서 “지난 10년간 한국영화가 나름 황금기를 거쳐오며 감독들이 성장해온 만큼 앞으로도 더 좋은 환경에서 더 좋은 영화가 만들어지리라 생각한다”고 바람을 밝혔다.

그는 “사실 이번에 10편의 단편을 준비하면서 10명의 감독들이 서로 어떤 내용의 영화를 만드는 지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준비를 했는데, 나중에 완성된 것을 보고 모두 놀라워할 만큼 완성도도 높고 내용도 풍부했다”며 “역시 전주국제영화제는 다른 영화제와 달리 가장 실험적이고 미래를 향한 진취적이며, 자유로운 환경과 느낌이 있어 감독들도 이를 잘 따른 것 같다”고 자평했다.

김 감독은 또 “이번 영화 ‘숏!숏!숏! 2009’의 매력은 무엇보다 다양하고 색다른 새로운 영화라는 것”이라며 “돈이라는 주제 하나로 10명의 감독 특유의 개성이 모두 발휘돼 인상적인 옴니버스 영화로 다가갈 것”이라고 소개했다.

‘숏!숏!숏! 2009’는 2007년부터 시작한 한국단편영화제작 프로젝트로 전주국제영화제가 영화제 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이 시대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인 돈을 주제로 충무로의 독립영화를 대표하는 젊은 감독 10명이 우리 시대의 자화상을 이야기했다. 최근 ‘탈주’를 완성한 이송희일 감독, ‘보트’의 개봉을 앞두고 있는 김영남 감독, ‘그녀는 예뻤다’의 최익환 감독을 비롯해 ‘은하해방전선’의 윤성호, ‘저수지에서 건진 치타’의 양해훈 감독 등이 연출을 맡았다.

‘숏!숏!숏! 2009’는 전주국제영화제에서의 상영은 물론 오는 9월경에 예술영화 상영관을 위주로 일반 극장에서도 공개된다.

[전주 전북=매일경제 스타투데이 장주영 기자 semiangel@mk.co.kr]

About this entry




Tag Cloud

Categories

전체 (124)
newest news (54)
video diary (34)
photo diary (5)
works archive (21)
contact me (1)
about me (1)
text diary (8)

Menu

  • Total : 470826
    Today : 178
    Yesterday : 344

Calendar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