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9.04.30 프레시안: <숏!숏!숏! >은 그 어느 때보다도 뛰어난 개막작 ”


[JIFF2009]"<숏!숏!숏! >은 그 어느 때보다도 뛰어난 개막작"

[Film Festival] 전주영화제 개막작 <숏!숏!숏! 2009 : 황금시대> 기자회견 열려


10회 전주국제영화제(이하 '전주영화제')의 개막작 <숏!숏!숏! 2009 : 황금시대>(이하 '황금시대') 관련 기자회견이 4월 30일 개막식에 앞서 기자시사 뒤에 올해 새로 완공돼 문을 연 전주영화제작소 4층에 위치한 상영관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는 전주영화제의 민병록 집행위원장과 정수완 프로그래머를 비롯해 영화의 제작을 맡은 (주)인디스토리의 곽용수 대표와 배급을 맡은 KT&G 상상마당의 이용출 팀장, 그리고 연출에 참여한 10명의 감독을 대표해 <페니러버> 편을 연출한 김성호 감독이 참석했다.

▲ 10회 전주국제영화제의 개막작 <숏!숏!숏!2009 : 황금시대>의 기자회견이 30일 오후 3시 기자 시사 후 열렸다. 왼쪽부터 민병록 전주영화제 집행위원장, 이용출 KT&G 상상마당 팀장, 곽용수 인디스토리 대표, 김성호 감독, 정수완 전주영화제 프로그래머. ⓒ프레시안

전주영화제 10주년을 기념해 만들어진 <황금시대>는 10명의 감독이 참여해 10편의 단편을 모은 옴니버스 영화. 10명이 감독이 선정된 데에 대해 정수완 프로그래머는 "엄격한 기준이 따로 있었던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감독 선정을 위한 회의 과정에서 독립영화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에 대해 보다 많은 고민들을 하고 있는 감독들, 그리고 되도록 한 편 이상의 장편을 연출한 경험이 있는 감독들 위주로 선정했다는 것. 그러나 이 기준이 절대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실제로 열 명의 감독 중에는 아직 장편 연출 경험이 없는 감독이나 독립영화와 상업영화의 경계에서 작업을 해온 감독들도 포함돼 있다.

또한 '돈'이라는 소재를 택한 데에 대해서도 "아무래도 지금 시기 가장 민감한 문제이다 보니 자연스럽게 의견이 합의됐다"고 밝혔다. "예산 등 여러 조건이 열악한 상황에서도 10명의 감독이 흔쾌히 제안을 수락했을 뿐 아니라 완성도 있는 작품을 만들어줬다"며 고마움을 표했다. 특히 <황금시대>가 "앞으로도 그 어떤 개막작보다 뛰어난 개막작이 될 것"이라며 작품에 대한 애정과 자신감을 드러냈다. <황금시대>는 애초부터 개막작으로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것은 아니었지만, 10주년 기념 프로젝트인 만큼 의미도 컸지만 워낙 완성된 퀄리티가 높았다는 것이 정 프로그래머의 설명이다.

▲ 전주영화제 개막작 <숏!숏!숏!2009 : 황금시대> 중 <페니러버> 편을 연출한 김성호 감독이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ㅇ하고 있다. .ⓒ프레시안
김성호 감독도 <황금시대>가 개막작으로 선정됐다는 말을 처음 듣고 매우 놀랐다고 털어놓았다. "영화제는 감독들이 관객들에게 자신의 영화를 선보일 수 있는 매우 소중한 자리다. 특히 독립, 저예산, 예술영화 감독들은 관객들과 만날 수 있는 기회가 한정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영화제에서 자신의 영화가 상영된다고 결정됐을 때 감독이 느낄 기쁨은 당연히 큰 것이다. 그 중에서도 전주영화제는 그 어떤 영화제들보다도 진취적이고 자유로우며 실험적인 영화제"라고 말했다. 그런 전주영화제의 숏!숏!숏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된 것도 기쁜데, 이 작품이 개막작으로 선정되어 더욱 영광이라고 소회를 밝혔다.

김성호 감독은 이전에도 인디스토리와 함께 옴니버스 영화를 다수 연출했던 인연으로 10명 감독들 중 '반장'으로 활동했다. 각 감독들이 자신의 영화를 끝낸 뒤에도 다른 작품들을 취합하고 연결하는 등 후속작업을 책임진 것. 김성호 감독이 말에 따르면, 애초10명의 감독들에게 각자 연출의도와 창의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른 감독들의 주제나 작품 진척상황 등에 대해 감독들 간에 정보를 되도록 주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처음에는 주제나 이야기가 겹치면 어쩌나 우려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지만, 결국 스타일과 내용, 주제가 겹치는 바 없이 감독 각자의 개성을 또렷이 반영한 열 편의 영화가 나왔다"는 것. 또한 다른 작품들이 '돈'이라는 키워드를 주로 사회적인 주제로 발전시킨 것과 달리 그가 연출한 <페니러버>가 다소 개인적이고 내밀한 서정적인 이야기를 다룬 것에 대해 "나 역시 내가 하고픈 이야기를 자유롭게 만들다 보니 그렇게 됐다. 우리 시대에 경제성장이 최고의 화두가 된 만큼 주로 우울하고 힘든 이야기들이 많을 것이라 생각했다. 나는 약간 다른 얘기를 하고 싶었다"고 연출 의도를 밝혔다.

한편 민병록 집행위원장은 최근 <워낭소리>나 <낮술>, <똥파리> 등 한국의 저예산 독립영화들이 거두고 있는 성과에 대해 "이제야 상영공간이 확보되기 시작했고 관객들도 다양하고 역동적인 영화들에 관심을 갖게 된 만큼 한국 독립영화도 앞으로 더욱 발전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프랑스나 일본의 경우 다양한 독립영화들을 상영할 공간들이 보장돼 있고 고정 관객들이 있는 만큼 지난 수십 년간 독립영화가 다양하게 발전할 수 있었지만 한국은 그렇지 못했던 게 사실이라고 밝히면서, 특히 일본의 경우 연간 만들어지는 400여 편의 영화 중 주류 영화들은 60여 편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한국의 경우 주류 영화들이 그간 너무 많이 만들어져 왔다는 것. 민 집행위원장은 "한국영화는 주류영화들이 심지어 한 해 백 편까지도 만들어질 정도였다. 그에 반해 독립영화는 만들어진다 해도 상영될 공간이 거의 없어 관객과 만날 기회가 적었다. 그러나 앞으로는 달라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전주=김숙현 기자


About this entry